내가 주변에서 본 사례를 보면, 근로장려금을 신청했는데 ‘0원’으로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꽤 많다. 이게 무슨 뜻인지 헷갈리기 쉽지만, 주요 원인을 알면 이해하기 쉽다. 크게는 소득 신고 문제, 소득 기준 미달·초과, 그리고 신청서 작성 실수 때문이다.
본 내용은 2025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가장 흔한 이유
내 경험상, 실제로 일을 했거나 사업 매출이 있었어도 소득 신고를 하지 않으면 국세청 기록상 소득이 ‘0원’으로 나온다. 그러면 근로장려금 산정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래서 반드시 부가가치세나 종합소득세 신고를 먼저 해야 한다. 심지어 신고 기한이 지났어도 ‘기한 후 신고’로 먼저 소득 신고를 완료하고 장려금 신청을 다시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소득 기준 문제
근로장려금은 일정 소득 구간 내에서만 지급된다. 예를 들어 단독가구는 연 소득 2,200만 원 미만이어야 하는데, 이걸 넘으면 안 된다. 반대로 소득이 전혀 없으면 지급액이 산정될 수 없으니 0원이 되는 것이다. 내 주변에서도 소득이 너무 많거나 반대로 아예 없어서 0원이 나온 사람이 있다.
가족 정보나 소득 유형 오류
직접 보니, 가족 구성 정보를 누락하거나, 프리랜서 소득이 있는데 근로소득으로만 신청하는 등 신청서 작성 오류도 0원 지급의 원인이다. 신청 유형과 가족 정보를 정확히 입력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 잘못 입력하면 심사에서 제대로 반영이 안 돼서 아쉽게도 0원이 나온다.
해결 방법
소득 신고가 안 돼서 0원이 나온 경우라면, 기한 후라도 세무 신고를 먼저 하자. 그리고 이의 신청이나 추가 신청을 통해 다시 심사를 받을 수 있다. 가족 정보나 신청서 오류가 원인이면, 보완해서 다음 정기 신청 때 꼼꼼히 준비하는 게 좋다.
결론적으로, 국세청에 신고된 소득이 ‘0원’이면 근로장려금 지급액도 0원이 된다. 실제 소득이 있다면 꼭 신고부터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