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포스팅은 2023년에 적용되는 학자금대출받는 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간단한 절차에 대해서 먼저 얘기를 하고, 대출 종류, 종류에 따른 조건, 승인 시간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다룬다. 추가로, 조건에 충족하지 못한 경우 해결책도 함께 제시하겠다.

본 포스팅은 2023년 1월 1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절차

신청하고 승인 나면 본인 계좌로 생활비 혹은 학교로 등록금이 들어가는 아주 간단한 과정이다. 다만 이건 정부에서 돈을 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본인인증과 금융교육이 반드시 필수다. 돈에 대한 개념이 막막한 청년들에게 교육을 해주고 나중에 떼먹지 말고 잘 갚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부모님 잘 만나서 돈에 대해 잘 모르고 흥청망청 쓰는 것보다 이게 인생을 멀리 봤을 때 본인에게 도움 된다.

 

서류 준비의 경우 학부생은 할 것이 거의 없고, 대학원생의 경우 자격 조건이 약간 까다로워서 몇 가지 과정을 거쳐야 한다. 온라인으로 모든 절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로 서류를 첨부해서 업로드하는 과정은 극히 드물다. 다만 담당자의 요청에 의해서 필요할 경우 업로드할 수도 있다. 나랏일 중에서 가장 간소화된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종류

등록금과 생활비 2가지를 제공하는데 신청 과정에서 둘 중 하나 혹은 둘 다 선택하게 되어있다. 그런데 우리가 더 중요하게 봐야 할 것은 돈을 갚는 방식, 즉 상환 방식에 따라서 종류가 달라지는 것이다. 대출이라는 것이 언제 어떤 식으로 갚는지 따라서 조건이 달라지는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결과가 시작에 영향을 주는 시스템이라고 보면 된다. 상환 방식에 따른 종류는 다음과 같다.

취업 후 상환 : 말 그대로 취업하면 돈을 갚는 방식

일반 상환 : 약속한 기간 후에 돈을 갚는 방식

 

농촌출신대학생 학자금 융자는 별도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조건

1. 공통 사항

직전 학기 이수학점이 12학점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대학마다 최저이수학점이 12학점 미만인 곳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해당 대학의 규정에 따르면 된다. 공통 조건은 이게 전부다. 그러니 학교만 잘 다닌다고 약속을 하면 일단 대출의 첫 번째 조건은 합격인 것이다. 이걸 기본적으로 충족한 다음에 아래 2가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2. 취업 후 상환

취업 후 상환은 대학생이 미래 소득을 발생시킨다는 희망을 가지고 빌려주는 것이기 때문에 자격 조건이 유연하다. 그렇다고 신청하는 모든 사람에게 제공하기에는 자금이 부족하기 때문에 정말 집안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그래서 학부생의 경우 만 35세 이하이면서 학자금지원구간 8구간 이하일 때, 대학원생의 경우 만 40세 이하이면서 4구간 이하일 때 지원한다. 학점은행제와 외국대학은 제외다.

 

3. 일반 상환

많이 까다로운 편이다. 취업과 상관없이 약속한 기한 내에 돈을 갚아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돈을 빌린 대학생도 부담되고, 돈을 빌려준 한국장학재단도 불안하다. 그래서 더 까다로운 조건을 내걸 수밖에 없다. 만 55세 이하여야 하고, 직전학기 성적 100점 만점 중에 70점 이상이어야 한다. 신입생에 속하는 분들, 예를 들어 편입생, 재입학생과 장애인 분들은 성적 조건을 보지 않는다. 일반 상환은 은행 대출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는데 그래서 학자금 지원구간도 보지 않는다. 다만 개인의 신용조건을 무조건 보게 된다. 대학생은 무직자인데 무슨 신용이 있다고 보냐? 이렇게 물어볼 수 있지만 공과금이나 통신비 등을 낸 흔적들로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

 

심사 및 승인 시간

심사 후에 승인까지 걸리는 시간은 신청일 기준으로 대략 8주 정도, 그러니까 2개월 정도 소요된다. 뭐가 이렇게 오래 걸리냐고? 반문할 수 있는데 경험상 2개월이 거의 최대 마지노선으로 보인다. 사람이 많이 몰리지 않으면 1개월 정도로 빨라지는 경우도 있다. 생활비 대출의 경우 심사할 것이 별로 없기 때문에 신청 후 일주일 내로 들어오는 경우도 있다. 즉 사람이 하는 일이다 보니 정확한 일정을 알기 어렵다. 그래서 등록금 납부 기한을 기준으로 넉넉하게 2개월 전에 신청하는 것을 추천한다.

 

조건 충족이 안된다면?

대학생은 소득이 없어서 무직자로 분류가 되기 때문에 시중은행이라고 불리는 제1금융권에서는 찬밥신세다. 그래서 유일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곳은 정부 정책자금과 제2금융권 이하 쪽이다.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청년대출, 즉 햇살론 유스를 먼저 알아보기 바란다. 이것도 청년의 미래소득을 조건으로 제공하는 것인데 등록금 마련에 도움이 된다. 이외에도 대학생이 활용할 수 있는 정책자금이 몇 가지 있다. 제2금융권 이하는 금리가 높긴 하지만 등록금의 일부 수준을 빌려서 결정되는 이자가 그렇게 부담되지 않기 때문에 취업 후에 얼마든지 갚을 수 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이자 10%로 빌린다고 하면 한 달에 내는 이자가 만원도 안된다.

 

 

지금까지 2023 학자금대출받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외에도 대학 등록금 관련해서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추가로 탐독하기 바란다.


대학생 대출 가능한 곳 3가지 및 자격 조건
한국장학재단 생활비 대출 150만 원 후기
청년 전세자금 대출 종류(월세 포함)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자격조건 분석 편
자취생, 1인 가구 식비 아끼는 방법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