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에 관심이 있어서 어렵게 주택청약통장을 가입했는데, 갑자기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는 기쁜 소식을 전해 듣게 됩니다. 하지만 연말정산이라는 말만 들어도 머리가 아파오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오늘 그 불편한 상황을 아주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이야기를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 오늘의 주제는 주택청약통장에 납입한 금액에 대해서 소득공제를 받은 저의 이야기입니다.
주택청약통장 소득공제받은 후기
1. 은행에서 무주택 확인서 발급받는다
2. 무주택 확인서를 연말정산 서류에 포함시켜서 인사팀에 넘겨준다
3. 96만 원 소득공제를 받았고, 연말정산 결과로 환급금을 받았다
1. 은행에서 무주택 확인서 발급받는다
최근 들어서 가입할 수 있는 주택청약통장 상품은 총 2가지뿐입니다. 주택청약종합저축과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인데요. 이름 참 어렵게 생겼죠?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 더 많은 혜택이 있긴 한데, 저는 조건이 안돼서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가입을 했었습니다.
- 가입하고 나서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니까 소득공제를 받으려면 무주택 확인서를 발급받아라고 하더라고요.
- 저는 국민은행이라서 인터넷으로 발급받을 수 있었고, 발급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민은행 홈페이지 > 인증서 로그인 > 전체 서비스 > 특화 서비스 > 주택청약 > 소득공제 > 소득공제 대상 등록/해지
2. 무주택 확인서를 연말정산 서류에 포함시켜서 인사팀에 넘겨준다
무주택 확인서를 인터넷으로 발급받고 나서 서류를 프린트해서 인사팀에 넘겨줬는데요. 제가 은행원에게 물어봤을 때 무주택 확인서를 인터넷으로 발급받으면 곧바로 국세청으로 이 내용들이 전달된다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또 저희 회사 인사팀에 서류를 내야 하는 게 의아했습니다.
- 똘똘한 인사팀 담당자가 하는 말이, 회사가 대신해서 연말 정산해주는 거니까 당연히 제출해야 된다고 하더라고요.
- 국세청에 아무리 신고가 들어갔어도 누락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해줬습니다.
3. 96만 원 소득공제를 받았고, 연말정산 결과로 환급금을 받았다
주택청약통장에는 매달 최소 2만 원에서 최대 50만 원까지 납입을 할 수 있는데요. 저는 나중에 신축 아파트를 가지고 싶어서 청약하는 것도 있지만 목돈을 마련하고 싶기도 해서 매월 20만 원씩 납입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연간 240만 원 한도 내에서 40%까지만 소득공제를 해준다고 하더라고요.
- 저 같은 경우에는 1년 동안 240만 원을 납입했기 때문에 40%인 96만 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 96만 원을 돌려받은 게 아니라 납입액 중에 96만 원에 대해서는 세금을 매기지 않는 겁니다.
- 나중에 연말정산 결과를 받아보니깐 저는 세금을 환급받는 대상자였습니다. 너무 기분 좋지요.
- 이렇게 후기를 보시면서 용어도 어렵고 궁금한 점들이 많으실 겁니다. 아래 내용을 꼭 참고해주세요.
소득공제란
우리 개개인들은 모두 경제활동을 하고 있고, 거기에서 소득을 얻습니다. 그런데 내가 벌어들이는 소득에 대해서 나라에서는 세금을 떼 가는데 바로 소득세입니다. 직장인 분들은 매달 월급명세서를 받아보시면 소득세 외에도 건강보험료나 국민연금 등이 빠질 텐데요. 전부 내가 벌어들인 소득과 관련 있으면서 나라에 납부해야 하는 금액들인 것이죠.
- 원래는 1년 동안 돈을 벌고 나서 그 후에 나라에다가 세금을 내면 되는데, 이렇게 하면 국가의 재정상태가 안 좋아지니까 1년 치를 미리미리 거둬들이는데 이것을 원천징수라고 합니다.
- 그래서 회사에서는 매달 근로자들에게 월급을 줄 때 일정 세금을 미리 떼는 것입니다.
그런데 내가 벌어들인 소득으로 특정 분야에서 돈을 사용한다면 세금을 매기지 않습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신용카드 , 체크카드, 전통시장 등이죠. 그런데 이 특정 분야에 주택청약통장에 납입한 금액도 포함이 됩니다. 상식적으로 세금을 매기지 않는 분야는 나라 경제에 도움이 되는 지출에 한해서겠죠. 주택청약통장도 나라 경제에 아주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 반면에 자동차는 사치품에 해당하기 때문에 나라 경제와는 아무 상관이 없어서 소득공제를 안 해주는 겁니다.
- 돈 모으고 싶으시면 자동차 구매하지 마시고, 대중교통 이용하세요.
주택청약통장 소득공제 조건
1. 주택청약종합저축
- 근로자 총 급여액 : 연 소득 7,000만 원 이하
- 근로자 주택 유무 : 무주택 세대주
- 소득공제 조건 : 청약통장에 납입금이 있는 경우
- 소득공제 한도 : 연간 240만 원에서 40%
2.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 주택청약종합저축과 동일
소득공제 조건을 보시고 미리 따져보시는 것도 좋지만, 내 상황이 너무 애매하고 잘 모르겠다고 하시면 이란 무주택 확인서만 발급받아서 인사팀에 제출부터 하시기 바랍니다. 소득공제가 되면 좋은 거고, 안되면 어쩔 수 없는 것이죠. 다만, 무주택 확인서를 발급조차 받지 않으시면 소득공제 누락이 될 수 있으니 이 점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로, 청약통장 가입조건과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소득공제 조건은 위처럼 별도로 정해져 있습니다.
[관련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