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사잇돌 재직기간 판단 기준에 대해서 소개한다. 정책자금은 저신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긴 하지만 정해진 조건이 뒤따른다. 그중에서 가장 신경 쓰이는 것이 재직기간과 소득조건 2가지이다. 내가 근로소득자인데 현재 회사를 정확하게 3개월 이상 다녔는지 계산하는 방법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 대해서 해법을 제시하겠다.

본 포스팅은 2022년 11월 1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목차

     

    사잇돌 종류별 재직기간 조건

    사잇돌 1 - 은행 및 상호금융

    여기에서 말하는 은행은 제1금융권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국민, 기업, 우리 등이 있고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길 바란다. 상호금융은 제2금융권 중에서 단위농협, 새마을금고 등을 말한다. 사잇돌 1을 취급하는 은행들은 등급이 높아서 한도가 최대 2천만 원이고, 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소득 구분
    재직기간
    소득 기준
    근로소득자
    현재 직장 재직기간 3개월 이상
    연 1,500만 원 이상
    개인사업자
    현재 사업 개시일 6개월 이상
    연 1,000만 원 이상
    연금소득자
    공적연금 수령 1회차 이상
    연 1,000만 원 이상

     

    사잇돌 2 - 저축은행

    저축은행은 종류가 굉장히 많아서 일일이 나열하지 못하는 게 아쉬울 뿐이다. 여기는 금리가 높은 게 단점이지만 그만큼 한도를 3천만 원까지 제공하기 때문에 급전 규모를 많이 당겨야 하는 분들에게 대안이 될 수 있는 곳이다. 아래 표를 보면 연금소득자라고 되어있는데 이것은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에 한정되어서 얘기하는 것이다.

     

    소득 구분
    재직 기간
    소득 기준
    근로소득자
    현재 직장 재직기간 5개월 이상
    연 1,200만 원 이상
    개인사업자
    현재 사업 개시일 4개월 이상
    연 600만 원 이상
    연금소득자
    공적연금 수령 1회차 이상
    연 600만 원 이상

     

    사잇돌 종류별 취급 은행

    사잇돌 1 - 은행 및 상호금융

    1. 시중은행 :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 수협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카카오 뱅크, 케이 뱅크, 토스 뱅크
    2. 상호금융: 단위농협, 단위신협, 단위수협, 새마을금고

     

    사잇돌 2 - 저축은행

    KB저축은행, 대신 저축은행, 모아 저축은행, 스마트 저축은행, 스타 저축은행, 신한 저축은행, 페퍼 저축은행, 한국투자 저축은행, OK저축은행, SBI저축은행, 웰컴 저축은행, 애큐온 저축은행, 유진 저축은행, 예가람 저축은행, 아주 저축은행, 세람 저축은행, 키움 저축은행, 한성 저축은행, 조은 저축은행, BNK저축은행, 하나 저축은행, 대한 저축은행, 진주 저축은행, 동원 제일저축은행, 드림 상호저축은행, IBK저축은행, NH저축은행, 삼일 상호저축은행, 엠에스 상호저축은행, 융창 상호저축은행, OSB저축은행, 고려 저축은행, 대명 상호저축은행, 삼정 상호저축은행, 오투 저축은행, 인성 저축은행, 키움 예스 저축은행, JT친애 저축은행

     

    재직 기간 판단 기준

    월력으로 한 달 이상을 판단해야 한다. 그리고 내가 입사한 날짜를 기준으로 기간을 따지는 것이 통상적인데 체계도 없는 회사를 다니고 있다면 4대 보험을 기준으로 판단하면 된다. 대출은 재직기간을 판단할 때 무조건 4대 보험 가입기간을 보게 되어있다. 월력은 경력을 추산할 때 활용하는 계산법인데, 이론적인 내용을 설명하는 것보다 예시를 드는 것이 훨씬 이해가 쉽다.

     

    5월 1일 ~ 5월 31일

    첫 번째 예시는 1일부터 말일까지 정확하게 한 달로 본다. 2월은 28일까지 밖에 없고, 어떤 달은 30일까지 밖에 없는 것도 있는데, 무조건 말일까지 한 달로 계산하면 된다. 본인이 근로소득자인데 사잇돌 1 대출을 받고 싶다면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총 3개월을 근무하면 되는 것이다.

     

    3월 2일 ~ 4월 1일

    두 번째 예시는 애매한 날짜에 회사에 입사한 것인데, 대부분 다 이럴 것이다. 입사날짜를 기준으로 정확한 한 달은 다음 달 동일한 일자의 전날까지이다. 본인이 근로소득자이고 사잇돌 2 대출을 받고 싶다면 3월 2일부터 7월 1일까지 총 5개월을 근무하면 된다.

     

    재직기간이 부족할 경우

    당장 오늘까지 급전이 필요한데 조건이 안 맞을 수도 있고, 다른 조건들이 충족되지 않아서 사잇돌 대출을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것이다. 이럴 때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주관하는 햇살론이나 새희망홀씨, 근로복지공단에서 제공하는 생활안정자금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마저도 조건이 안되면 저신용자들이 기댈 수 있는 곳은 사금융뿐이다. 금융감독원에 공식적으로 등록된 업체인지 조회를 하고 이용하길 바란다.

     

     

    지금까지 사잇돌 재직기간 판단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급전이 필요한데 조건을 판단하기 어려웠던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사잇돌 햇살론 중복 한도 부족 해결 방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